본문 영역

Special UNIST

  • Issue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UNIST, 반도체 미래 인재 양성 앞장

    UNIST가 반도체 산업의 차세대 전문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낸다. 최근 교육부가 주관하는 ‘2024년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면서, 앞으로 4년간 총 150억 원(국비 140억 원, 지방비 10억 원)의 지원을 받게 된 덕분이다. 이번 선정으로 반도체 산업의 실무형 전문 인재 육성 및 글로벌경쟁력 확보를 향한 UNIST의 행보는 더욱 탄탄해질 전망이다.

    자세히 보기
  • Insight
    AI의 진보, 해법은
    여전히 인간에게

    1901년 제정된 노벨상은 매년 12월 10일(알프레드 노벨의 사망일) 인류 복지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된다. 올해의 ‘2024 노벨상’은 인공지능(AI)발전에 획기적인 기여를 한 두 명의 물리학자, 미국 프린스턴대의 존 홉필드 교수와 캐나다 토론토대의 제프리 힌튼 교수에게 돌아갔다.

    자세히 보기
  • Outside & UNIST
    AI 윤리, 우리 모두의
    새로운 도전과 책임

    전창배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이사장

    인공지능(AI)은 이제 인간의 삶 깊숙이 스며들어 단순한 일상의 도구를 넘어, 동반자로서의 새로운 지위을 부여받고 있다. 한편 AI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만큼이나,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와 안전한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떠올랐다.

    자세히 보기
  • Inside & UNIST
    ‘지식’은 취하고 ‘경험’은 살리며,
    비판적 성찰로 인간성 지켜야

    ‘과학’이라는 단어는 다소 차가운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우리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기술 덕분에 삶은 더욱 윤택하고 풍요로워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연구자들이 기술의 영향과 의미를 심도 있게 성찰하는 ‘반성’을 거듭하기에 가능한 일이다.

    자세히 보기
  • Laboratory
    AI 자율제조의 새로운 패러다임
    UNIST의 ‘제조업의 미래’ 읽기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으로 산업화를 시작한 국내 제조업은, 1980년대 삼성·현대·LG 등 대기업의 성장으로 전성기를 맞았다. 이후 반도체·전자·자동차 산업이 고도화됐지만, 2000년대 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업의 부상은 제조 분야의 성장세를 다소 주춤하게 만들었다.

    자세히 보기

With UNIST

  • Together  
    ‘UNIPLEX Special Talk’ 개최
    이세돌 9단의 알파고 대국 회상
    더 보기
  • Stadium  
    UNIST, 6개 과기특성화대 문화의 장
    2024 STadium서 종합우승!
    더 보기
  • Place  
    UNIST에 조성된
    LG 어나더 캠퍼스
    더 보기
  • Gift to UNIST  
    UNIST
    발전기금 소식
    더 보기